으로 시작하는 네 글자의 단어: 88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53개 세 글자:631개 💕네 글자: 881개 다섯 글자:438개 여섯 글자 이상:525개 모든 글자:2,729개

  • 강하다 : (1)조선 시대에, 내시를 뽑을 때에 대궐 안의 각 문의 이름을 외게 하다.
  • 건놀음 : (1)‘문서놀음’의 북한어.
  • 견잡설 : (1)조선 시대의 문신 이기(李墍)ㆍ유성룡ㆍ강신의 잡록과 일기를 베껴 놓은 초록(抄錄). 이기의 ≪송와잡설(松窩雜說)≫, 유성룡의 ≪운암잡록(雲巖雜錄)≫, 강신의 ≪진흥군일기(晉興君日記)≫가 일부 채록되어 있다. 필사자와 필사 연대는 미상이다. 11책 59장.
  • 견차기 : (1)우리나라와 중국의 역사에서 일어났던 문물 전반에 대한 기사를 실은 책. 우리나라의 것은 조선 태조 이후부터 헌종까지의 잡다한 사실을 단편적으로 간단하게 기술하였다. 중국의 것은 반고씨(盤古氏) 이하 역대 황제들의 세계(世系)와 치세, 각 인물의 중요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10책.
  • 견하다 : (1)듣거나 보거나 하여 깨달아 지식을 얻다.
  • 견휘찬 : (1)조선 고종 11년(1874)과 그 이듬해에 세계 각국에서 있었던 교훈이 될 만한 일과 문물을 소개하는 기사 형식의 글들을 모아 놓은 책. 유럽과 미국은 물론, 러시아ㆍ인도ㆍ아프리카 등지의 일들을 폭넓게 기사화하였다. 기사는 중국의 잡지류에서 발췌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세계 문화의 상황을 중국 또는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이해하였는가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1책 33장.
  • 경 관문 : (1)경상북도 문경시에 있는 옛 관문들. 예전에 영남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중요한 길목의 하나였다. 제1관문인 주흘관, 제2관문인 조곡관, 제3관문인 조령관 따위가 남아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문경 조령 관문’이다.
  • 경 새재 : (1)진도 아리랑 계통의 민요. 가사는 “문경 새재는 웬 고갠가”로 시작하고, 그 후렴에서 “아르르르 아르르르 아라리요……” 하고 혀를 굴리는 점이 특징이다. (2)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 사이에 있는 고개. 조선 시대에 축성한 제1ㆍ2ㆍ3 관문과 부속 성벽으로 된 사적 제147호의 문경 관문이 있다. 경상도와 충청도의 도립 공원이다. 높이는 642미터.
  • 경의 치 : (1)중국 전한(前漢) 문제와 경제 때의 태평성세를 이르는 말. 세금 감면 따위의 선정을 베풀어 민심을 안정시켰던 시대이다.
  • 경지교 : (1)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경지우 : (1)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경 탄전 : (1)경상북도 문경시에 있는 무연탄 탄전.
  • 경하다 : (1)목을 베다. (2)(비유적으로) 해고하거나 해직하다.
  • 계하다 : (1)죄과로 벼슬에서 쫓겨난 사람을 임금의 명으로 승정원의 승지가 계판(啓板) 앞에 불러 그 까닭을 물어서 아뢰다.
  • 계 혁명 : (1)중국 문학에서 유신파들이 주도한 산문 개혁. 이전에 사용했던 고문체를 탈피하고 새로운 문언문을 만들어 냈다. 봉건주의에 대해 비판하고 보수적인 문풍을 바꾸려고 노력하였다.
  • 고렝이 : (1)‘문고리’의 방언
  • 골갱이 : (1)‘문고리’의 방언
  • 골게이 : (1)‘문고리’의 방언
  • 골도리 : (1)‘문곳도리’의 방언
  • 곳도리 : (1)문틀의 바로 위에 얹힌 도리.
  • 공가례 : (1)중국 명나라 때에 구준(丘濬)이 가례에 관한 주자의 학설을 수집하여 만든 책. 주로 관혼상제의 사례(四禮)에 관한 사항을 담았다.
  • 공 왕후 : (1)고려 정종의 비(?~?). 성은 박(朴). 승주(昇州) 출생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 박영규(朴英規)의 딸이다. 문성 왕후, 동산원 부인과 친자매간이다.
  • 과 급제 : (1)문과의 전시(殿試)에 합격하던 일.
  • 과 대학 : (1)인문 과학 부문을 전공하는 단과 대학. 어학, 문학, 역사, 철학, 종교 따위의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 과수비 : (1)잘못된 허물을 잘못이 아닌 것처럼 꾸미어 고치지 아니함.
  • 과 중시 : (1)고려ㆍ조선 시대에, 당하관의 문신이 특별히 보던 시험. 고려 시대에는 임금의 특명에 의하여 수시로 행하였고, 조선 시대에는 십 년마다 병년(丙年)에 행하였다.
  • 과 창방 : (1)조선 시대에, 대과(大科)에 합격한 사람의 명단을 발표하고 홍패를 교부하던 일.
  • 과하다 : (1)문과의 전시(殿試)에 합격하다. (2)‘과문하다’의 북한어.
  • 과 홍록 : (1)문과에 급제한 사람을 홍문록에 등록하던 일.
  • 과 회방 : (1)문과에 급제한 지 예순 돌이 되는 해. 조선 시대에는 회방을 맞이한 벼슬아치의 품계를 올려 주고, 음식이나 의복 따위를 내려 주었다.
  • 관사림 : (1)중국 당나라의 허경종(許敬宗)이 임금의 명에 따라 한(漢)나라 때부터 당나라 초기에 이르기까지의 시문을 모아 엮은 책. 형식과 내용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1,000권이었다고 하나 대부분이 없어지고 오늘날은 4권만이 전한다.
  • 교 정책 : (1)문화와 교육에 관한 정책.
  • 교 지구 : (1)도시에서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누려야 하는 환경을 훼손하지 않도록 건축 시설을 규제 하는 지역.
  • 교하다 : (1)글로써 서로 사귀다.
  • 구 세트 : (1)다양한 문방구를 한데 모아 구성한 세트. 또는 그러한 상품.
  • 구업계 : (1)문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분야나 영역.
  • 구업자 : (1)문구업에 종사하는 사람.
  • 구 업종 : (1)문구와 관련된 직업이나 영역의 종류.
  • 구업체 : (1)문구업에 종사하는 기업체.
  • 구용품 : (1)문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용품. 학용품과 사무용품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구 제품 : (1)환경 표지 대상 제품 및 인증 기준 개정 고시에 기재된 환경 표지 대상 제품으로 필기구, 사무용품, 미술용품 따위의 제품.
  • 구하다 : (1)모르는 것을 알려고 묻다.
  • 굿 무가 : (1)젊은 남녀의 비극적 운명을 내용으로 하는 서사(敍事) 무가. 함경도 지방에서 전승되는데, 문굿은 젊어서 죽은 망인(亡人)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베푸는 굿거리이다.
  • 굿하다 : (1)문신(門神)을 달래는 굿을 하다. (2)마을 농악대가 각 집의 대문 앞에서 굿을 행하다.
  • 귀무천 : (1)예전에, 문인(文人)을 중히 여기고 무인(武人)을 천시하던 일.
  • 금복정 : (1)문채만 화려하고 내용이 부실한 작품을 지적하는 비평 용어. 중국의 시인 유종원이 한 말로 그는 허풍을 늘어놓으며 현란하게 유혹하기만 하는 작품을 비판하면서 그런 작품은 마치 무늬 있는 비단을 함정 위에 덮어 두는 것과 같다고 비유하였다.
  • 금하다 : (1)인정(人定) 이후 도성의 문으로 드나들지 못하게 하다. (2)사치 풍조를 다스리기 위하여 무늬 있는 비단옷을 입는 것을 금하다.
  • 기 도찰 : (1)문서의 일부를 훼손하거나 덧붙여 변조하던 일.
  • 꼬다리 : (1)‘문고리’의 방언
  • 꼴게이 : (1)‘문고리’의 방언
  • 난하다 : (1)풀기 어려운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다.
  • 념무희 : (1)문관들은 안일하게 지내고 무관들은 희롱한다는 뜻으로, 안일에 빠져 제 직분을 다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다다리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닥지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대기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드리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 전투 : (1)기원전 45년에 에스파냐 남부의 문다에서 카이사르파와 원로원파가 벌인 전투. 카이사르파가 승리하여 로마의 내전이 끝났다. 그 결과 카이사르가 종신 독재관에 취임하여 로마를 장악하였다.
  • 다조리 : (1)‘눈알고둥’의 방언
  • 다지다 : (1)‘문지르다’의 방언
  • 닥문닥 : (1)‘문덕문덕’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닥닥’으로도 적는다.
  • 닥하다 : (1)‘문덕하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문닥다’, ‘닥다’로도 적는다.
  • 단 경향 : (1)문단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태도나 사조(思潮).
  • 단 금지 : (1)조선 시대에 무늬 있는 비단의 사용을 금한 일.
  • 단 문학 : (1)문단에서 이루어져 그 소재가 일반성이 없고 대중성이 희박하며, 규모가 작고 오직 기교와 형식에만 중점을 두는 예술파에 딸린 문학.
  • 단 블록 : (1)자신들의 주장이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문단의 몇몇 사람이 모여 하나의 세력을 이룬 집단.
  • 단 시론 : (1)그 당시의 문단 현상을 관찰하여 논하는 글이나 말.
  • 단 주류 : (1)문단의 중심이 되는 세력이나 사조(思潮).
  • 단주의 : (1)문예 창작을 신비한 것으로 보면서, 이름 있는 몇몇 작가의 작품만을 내세워 사회의 문예 활동을 독점하려는 경향을 부정적으로 이르는 말.
  • 달문달 : (1)‘는적는적’의 방언
  • 달하다 : (1)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다.
  • 답암호 : (1)적군과 아군을 가려내기 위하여 경비 근무를 하는 사람들이 서로 묻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쓰는 암호.
  • 답 풀이 : (1)묻고 답하는 방식으로 설명함. 또는 그런 설명.
  • 답하다 : (1)글로 회답하다. (2)서로 묻고 대답하다.
  • 당무가 : (1)조선 시대에, 문관의 정삼품 통정대부와 무관의 종이품 가선대부를 이르던 말. 모두 당상관으로, 당하관에서 승급하기가 어려웠다.
  • 당호대 : (1)대대로 내려오는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가 서로 상대가 될 만큼 비슷함.
  • 대하다 : (1)구두시험으로 유학 경서의 뜻을 묻고 대답하다.
  • 댄스 잼 : (1)1992년부터 매년 미국 미네소타주 캐스 카운티 워커에서 열리는 록 페스티벌. 미네소타주에서 열리는 가장 큰 페스티벌이며, 미국 내에서 열리는 최고의 클래식 록 페스티벌로 알려져 있다.
  • 덕문덕 : (1)제법 큰 덩이로 자꾸 뚝뚝 끊어지거나 잘라지는 모양.
  • 덕 왕후 : (1)고려 성종의 비(?~?). 성은 유(劉). 충주(忠州) 출생으로 광종의 딸이다. 홍덕원군(弘德院君) 왕규(王圭)와 혼인하여 1녀를 낳았으며, 이 딸은 선정 왕후가 되었다. 홍덕원군이 죽자 성종과 다시 혼인하였다.
  • 덕지무 : (1)고려 시대에, 종묘의 초헌(初獻) 때에 추던 문무(文舞).
  • 덕하다 : (1)제법 큰 덩이로 뚝 끊어지거나 잘라지다.
  • 던지기 : (1)‘문투’를 다듬은 말.
  • 덩농사 : (1)‘밭농사’의 방언
  • 데기다 : (1)‘문대다’의 방언
  • 데꺼리 : (1)‘문젯거리’의 방언
  • 데이벵 : (1)‘문둥병’의 방언
  • 도르래 : (1)창틀에서 창이 좌우로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파여 있는 홈과 그 위를 구르는 바퀴.
  • 도하다 : (1)도를 듣다. 또는 도를 듣고 깨닫다.
  • 도합일 : (1)도와 문이 모여 하나로 합치되는 것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 때의 작가 왕우칭(王禹偁)과 고문가 유개가 내세운 문학 운동 방법이다. 궁극적으로는 도를 목적으로 하고 문은 도를 위한 수단이 되는데, 문과 도가 서로 하나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 돋히칠 : (1)면에 도드라진 무늬가 생기도록 하는 칠.
  • 돌쩌귀 : (1)문짝을 문설주에 달아 여닫는 데 쓰는 두 개의 쇠붙이. 암짝은 문설주에, 수짝은 문짝에 박아 맞추어 꽂는다.
  • 동답서 : (1)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 동정과 : (1)맥문동 뿌리의 심을 빼고 꿀을 쳐서 중탕하여 끓인 정과.
  • 두루종 : (1)신라 선덕 여왕 때에, 명랑 대사(明朗大師)가 개종(開宗)한 종파. 진언종에 딸린 종파로서, 근본 도량(道場)은 금산사이며, 고려 중엽 이후의 칠종십이파에 포함되었다. 뒤에 중도종과 합하여 중신종으로 되었다.
  • 두행자 : (1)절의 삼문(三門)을 지키는 사람.
  • 둥광대 : (1)고성 오광대놀이에 등장하는 인물의 하나. 문둥탈을 쓰고 나온다.
  • 둥문둥 : (1)‘문덕문덕’의 옛말.
  • 둥병균 : (1)‘나병균’의 북한어.
  • 둥병자 : (1)‘나환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 둥북춤 : (1)고성 오광대에서, 문둥이가 추는 북춤.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

실전 끝말 잇기

문으로 끝나는 단어 (2,626개) : 다자문, 보수계 신문, 새살문, 전붕판문, 판정 의문, 비터 문, 귀신문, 속아문, 무전문, 고팡문, 작은어문, 박학다문, 접형골 천문, 백화문, 사생문, 비장문, 서리문, 바깥소문, 권왕문, 초화문, 구산선문, 영지문, 운학문, 밭삼문, 부귀다남문, 벽사문, 안 부정문, 싸문, 목적부문, 에뜨왈개선문 ...
문으로 끝나는 단어는 2,62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문으로 시작하는 네 글자 단어는 88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